[tip] 보유종목수익율/보유종목보유일 사용 유의사항
차트를 이용하여 전략을 만들 때
매도금액도 차트에서 보이는대로 설정하고 싶을 때가 있죠.
상승장악캔들이 출현했을 때 매수하는 전략을 예로 들자면,
출현한 캔들의 저가를 깰 때 매도하고자 하는 조건을 입력하고자 합니다.
젠포트에서는 과거값을 입력할 수 있는데요.
과거값({저가}, {x일}) 과 같이 입력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입력하고자 하는 매도 조건은
몇일 전의 저가인지를 상수로 입력할 수가 없겠죠?
이럴 때, {보유종목보유일} 을 이용하면 될 것 같긴한데..(반전 주의)
차트로 돌아가서, 상승장악캔들 출현 시 매수하는 전략이라면
첫번째 박스인 상승장악캔들이 출현한 이튿날 2022/02/09(수) 에 매수하게 될 것입니다.
이 때, 매도는 매수 전전일의 저가를 깰 때로 설정한다면
과거값({저가}, '{보유종목보유일}+2') < 0 와 같이 입력하면 될 것 같습니다.
이 경우, 2022/02/15(화) 인 두번째 박스에서 매도가 되겠네요.
입력해서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매도 조건을 추가하던, 추가하지 않던
결과는 동일했습니다.
결과 데이터를 봐도, 조건식에 따른 매도 흔적은 없습니다.
해당 매도 조건은 효용이 없다는 뜻입니다.
젠포트에 문의하니,
모든 이용자의 보유종목보유일을 서버에 저장, 관리하기가 힘들어서
공식 내에서 사용하기는 어렵다고 하네요.
보유종목보유일을 별도로 저장하지 않고도,
일자 계산이 가능하게 지원한다면
종목매수일로 계산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젠포트에서는 아직 지원 계획이 없는 것 같습니다.
엄청난 방법을 찾았다고 신났었지만,
아쉽게도 젠포트에서도 지원하지 않는 방법이었습니다.
정리하자면,
보유종목수익율과 보유종목보유일의 경우에는
다른 조건과 동시에 사용할 수는 없으니
전략을 만드는 데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