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S(주당순이익)은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당기순이익)을 그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 입니다.
말 그대로, 주가에 순이익이 어느정도 반영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주식 투자의 원래 목적에 아주 잘 맞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EPS는 단순히 EPS값이 아닌, EPS성장률을 넣었습니다.
주식은 현재가치말고, 미래가치를 매매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업이 벌여들인 단순한 순이익보다는 그 순이익이 점점 커지는 종목이 더 좋겠죠?
그래서인지, 단일 조건으로는 CAGR와 MDD가 이상적인 수준으로 나왔습니다.
비록 일봉 백테스트이긴 하지만,
MDD가 10%도 안되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시장 수익률을 이기는 전략임에 틀림 없네요.
이번에는 우선순위를 MFI-스토캐스틱(D) 로 설정했습니다.
의미를 간단히 설명 드리자면..
MFI(Money Flow Index)는 가격과 거래량을 사용하여
돈이 몰리는 구간인지, 나가는 구간인지를 알 수 있는 지표 입니다.
스토캐스틱(D)도 일정 구간 동안 주가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두 지표 모두 과매수, 과매도를 찾아내는 게 도움이 되는 지표인데요.
즉, MFI와 스토캐스틱(D)의 괴리가 큰 종목을 우선으로 매수하여
EPS 조건을 만족한 종목 중에 아직 가격이 오르지 않은 종목을 우선하여 매수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사실 우연히 넣었던 우선순위 였는데,
젠포트에서 만들어놓은 가치점수, 종합점수, 가격점수를 뛰어넘는 결과가 나와버렸습니다.

이렇게 얻어걸리면 좋습니다.
수익종목이 손실종목보다 적은데도,
목표가와 손절가를 설정하지 않았는데도
꾸준하게 우상향하는 결과를 보여줬습니다.
그럼 이제 다양한 항목들을 디테일하게 설정해 보면 되겠죠?
'단일조건 백테스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트] 수급점수 (1) | 2022.04.01 |
---|---|
[차트] 볼린저밴드 (2) | 2022.03.18 |
[재무] 매출액성장률 (0) | 2022.03.17 |
[재무] GP/A (0) | 2022.03.15 |
[재무] ROE(자기자본이익률) (0) | 2022.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