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f-score2 3

[복합] 저시총 전략(3)-5년 수익률 1200%

시가총액이 작은 종목 위주로 매수하는 전략 입니다. 저시총 전략은 매년 꾸준하고 안정적인 수익률을 가져다 줍니다. 시가총액이 작기 때문에 모자랄 수 있는 물량은 보유기간을 늘려서 보완하곤 합니다. 보유기간이 늘어나면, MDD가 비교적 커지게 되는데요. MDD도 26.03%로 무난하면서 CAGR 64.43%로 꽤 큰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KOSPI, KASDAQ 상관성이 비교적 크지만, CPC Index나 Sharpe Ratio는 안정적인 수치가 나왔습니다. 저는 저시총 전략들을 백테스팅 하면, 2017년도 수익률이 안좋게 나오고 있습니다. 그래도 2017년 수익률을 커버하고도 연 50% 이상의 수익률을 내고 있습니다. 저시총 종목 중에서도 돈의 흐름이 좋은 종목을 재무 데이터의 조합 우선순위로 매수하고..

퀀트 복합전략 2022.04.26

[복합] 수익성저시총 전략

퀀트는 전통적으로 시가총액이 낮은 종목에 효과가 좋다고 합니다. 저시총 종목 중 수익성이 좋은 종목을 매수하는 전략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매매결과는 위에서 보시다시피, 꾸준한 우상향으로 15년 누적수익률이 무려 69,237.57% 입니다. 시장 하락에 따른 충격이 수익률에 영향을 크게 준 모양이긴 하지만, 충분히 가공할 만한 결과를 냈습니다. 보유일이 늘어난 만큼 MDD가 커지는 건 어느정도 용인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저시총 종목이기 때문에 유동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평균 보유일 32.34일로 보유 기간을 늘려 전략을 구성했기 때문입니다. 보유기간이 늘어난다는 것은 하락장에도 매도하지 않기 때문이죠. CPC Index와 Sharpe Ratio도 좋은 편이지만, 수익종목과 손실종목의 건수 차이는..

퀀트 복합전략 2022.03.14

[재무] F-SCORE

수익성, 재무건전성, 영업 효율성 등 9개 재무지표를 점수화한 지표인 F-SCORE 백테스팅을 해봤습니다. 젠포트에서 조건 입력 시 F-SCORE로 검색하면 f-score2 라는 항목도 함께 조회가 되는데요. F-SCORE f-score2 (1)자본성장율(YOY) > 0 : 1점 (1)전분기대비 총주식수변화량 = 0 : 1점 (1) 항목만 위와 같이 다르고, 나머지는 아래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2)당기순이익 4분기합 > 0 : 1점 (3)영업현금흐름 4분기합 > 0 : 1점 (4)ROA성장율(YOY) > 0 : 1점 (5)부채비율성장율(YOY) 0 : 1점 (7)매출총이익율성장율(YOY) > 0 : 1점 (8)자산회전율성장율(YOY) > 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