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재테크] 진입 < 청산 < 자금관리

니그네틱 2022. 7. 1. 01:32
728x90

주식을 배우려면,

 

주식을 매수하고 매매일지를 작성하라고들 한다.

 

 

수익이든 손실이든 일단 경험해 봐야

 

돈을 지키는 방법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과거의 매매 기록을 통해서

 

진입, 청산, 자금관리에 대해서 심도있게 고민할 수 있기 때문이다.

 

 

728x90

 

시중에 나온 수 많은 책들은 대부분 '진입'에 대해서 다룬다.

 

 

 

그러나 주식을 직접 매수하고, 매매일지를 작성해 본 사람이라면

 

진입은 그렇게 중요한 요소는 아니라는 것을 느끼곤 한다.

 

중요하지 않다는 게 아니라,

 

그것보다도 더 중요한 게 있다는 뜻이다.

 

 

 

애초에 주식으로 생계를 해야하는 전업투자자가 아니고서는

 

주식 수익을 보너스 계정 정도로 치부하기 때문에

 

손실이 나도 '어쩔 수 없다' 정도로 생각한다.

 

나도 그랬었고, 내 주변 회사원들은 거의 그렇다.

 

 

적은 수익을 누적하다가, 큰 손실 한두번으로 계좌를 초기화하곤 한다.

 

그래서인지 고소득군에 있는 주식투자자들의 손실액이 더 큰 것을 종종 듣게 된다.

 

 

 

 

이런 사람들의 큰 특징 중 하나가

 

진입은 잘해놓고, 청산을 제대로 못해서

 

큰 수익을 반납하고, 더 큰 손실을 보고나서야 매매를 마치곤 한다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대로, 진입하는 방법은 정말이지 수만권의 책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런데 청산방법에 대해서는 자세히 다루지 않는다.

 

투자자들의 성향에 따라서 1-2%로 만족하기도

 

100% 이상이 되어야 만족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사실은 진입보다도 청산이 훨씬 더 중요하다.

 

얼마에 이익이나 손실을 실현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이

 

어느 타이밍에 진입할 것인지 보다 2배 정도 중요한 것 같다.

 

 

 

 

그런데 진입과 청산보다도 더 중요한 것이 있다.

 

 

정말 중요한 것은, 반복이다.

 

이 전에 승률보다 손익비가 중요하다는 글을 쓴 적이 있는데,

 

이 이유가 바로, 주식은 반복을 통해서 수익을 거두는 게임이기 때문이다.

 

 

 

 

트레이딩은 반복하는 게임이기 때문에

 

1회성의 산술평균이 아니라, 기하평균이 올라가도록 전략을 짜야 한다는 것이다.

 

 

 

 

간단히 얘기하자면,

 

산술평균은 한번에 투자했을 때 건당 얻을 수 있는 수익이고,

 

기하평균은 순차적으로 투자했을 때 건당 얻을 수 있는 수익이다.

 

 

 

 

 

승률이 60%인 전략이지만

 

상승 시 10%의 수익, 하락 시 10%의 손실이 발생한다고 했을 때

 

 

내 자금의 100%씩 투자 했을 때

 

하락을 5번 반복하게 되어도 내 자금의 40%가 사라진다.

 

 

지금같이 하락장이 오래 지속되는 경우,

 

하락 5번 반복은 그리 어려운 것이 아니다.

 

 

매매일지 데이터가 어느정도 쌓이면,

 

켈리 방정식을 참고해서 투자 효율을 높히는 것도 고려해볼만 하다.

 

 

 

 

 

https://namu.wiki/w/%EC%BC%88%EB%A6%AC%20%EB%B0%A9%EC%A0%95%EC%8B%9D

 

켈리 방정식 - 나무위키

일반적인 p의 확률로 승리시 b를 얻고 q의 확률로 패배시 a를 잃을 경우 아래의 공식이 만들어진다. r=(1+fb)p×(1−fa)q\displaystyle r=(1+fb)^{p} \times (1-fa)^{q}r=(1+fb)p×(1−fa)q양 변에 로그를 취하면,log⁡r=pl

namu.wiki

 

탐욕의 공식이라 알려진 만큼,

 

투자의 효율을 극대화 시켜주는 투자비율이지만

 

이론은 이론이니 참고 정도가 좋을 것 같다.

 

 

 

1년전 쯤,

 

진입보다는 청산이,

 

청산보다는 자금관리가 더 중요하다는 의미로

 

주식투자 가이드 pdf를 작성해서 크몽에 올리려고 시도한 적이 있다.

 

 

 

그런데 크몽에서 퇴짜 맞았다.

 

 

시중에 널리고 널린 진입 타이밍에 대해서 설명한 pdf는 겁나 잘 팔리던데..

 

 

BIG

 

 

크몽 담당자는 아무래도 주식투자를 하지 않는 모양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