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까지 다양한 MT를 만들어 보았는데요.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어느 정도 전략이 갖춰지면
지수 폭락장을 피하는 방법이
내 계좌를 지킬 수 있는 가장 효과좋은 방법이 아닐 수 없습니다.
볼린저 밴드는 20일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주가가 어느 정도의 위치에 있는지 알려주는 지표로,
표준편차를 더하거나 뺀 값을 상한선, 하한선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제각기 다른 형태로 움직이는 종목에 사용하는 것 보다
수 많은 종목의 움직임의 합인 지수의 상태를 판단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
지난 2023년 4월은 상승의 끝에
4/20일에서 26일까지 단 5일만에
4월 내내 꾸준히 상승하던 지수가 폭락을 맞이해, 4월 상승분을 모두 반납했습니다.
오늘 소개드릴 MT(Market Timing)는
위와 같은 폭락장이 오기 전에 매도를 하고,
해당 구간이 지나면 다시 매수를 하면
내 계좌를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겠다는 논리로 고민을 해보게 되었습니다.
가격의 표준편차를 사용하는 볼린저밴드의 특성상,
가격이 크게 움직이면 볼린저밴드 상한선과 하한선의 갭이 커지게 됩니다.
즉, 폭락은
하락장에서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볼린저밴드 상한선과 하한선의 갭이 임계값보다 크고, 전일보다 커지는 구간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상승장에서는 반대로 볼린저밴드 상한선과 하한선의 갭이 임계값보다 커졌다가 전일보다 작아지는 구간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자세히 보시면 아시다시피, 주식 시장에 100%는 없으므로
임계값을 조정하면서 본인 전략이 맞게 수정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이미지에서 보이는 아래 두개 지표는
볼린저밴드의 사이즈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 만든 사용자 지표입니다.
HTS 차트에서 오른쪽 버튼 메뉴 중 수식관리자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 지표 [볼린저밴드 상한값-볼린저 밴드 하한값]
두번째 지표 [볼린저밴드 상한값-볼린저밴드 하한값>100]
변수값은 지표조건설정 메뉴에 기존 볼린저 밴드와 동일하게 입력하면 되고,
임계값은 100으로 설정했습니다.
상승장, 하락장 구분은 120 이평선을 기준으로 구분하였고,
볼린저 밴드의 사이즈 임계값은 제 전략에 맞추어 100으로 설정하여
아래와 같이 조건을 작성해 봤습니다.
< 젠포트로 구현한 볼린저밴드 MT >
(A and (every(B,5) or C)) or (not(A) and (B or not(C)))
A {KOSDAQ지수_종가}-이동평균({KOSDAQ지수_종가},{120일}) > 0
B {KOSDAQ_볼린저밴드_상단값}-{KOSDAQ_볼린저밴드_하단값} < 100
C ({KOSDAQ_볼린저밴드_상단값}-{KOSDAQ_볼린저밴드_하단값})-과거값('({KOSDAQ_볼린저밴드_상단값}-{KOSDAQ_볼린저밴드_하단값})',{1일}) > 0
지수가 120이평 위에 있으면,
볼린저밴드 상단값-하단값이 5일 연속 100 이하 이거나
볼린저밴드 상단값-하단값이 전일보다 클 때 매수
즉, 상승장이면 5일 안에 밴드폭이 100을 넘어간 적이 있고 밴드폭이 전일보다 작으면 매수하지 않음.
지수가 120이평 아래에 있으면,
볼린저밴드 상단값-하단값이 100 이하 이거나
볼린저밴드 상단값-하단값이 전일보다 작거나 같을 때 매수
즉, 하락장이면 밴드폭이 100보다 크고, 밴드폭이 전일보다 크면 매수하지 않음.
역시 이해가 어려울 순 있지만,
한번 이해하고 나면 매우 파워풀한 조건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단일조건 백테스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트] 지수 obv 만들어 매매 제한하기 (4) | 2023.01.16 |
---|---|
[차트] MDD를 낮추는 아이디어들 (2) | 2022.12.08 |
[차트] MT를 두개 엮어서 MDD 낮춰보기 (4) | 2022.12.05 |
[차트] 마삼법으로 MDD 낮춰보기 (4) | 2022.12.01 |
[차트] 52주 신고가-5년 890% (2) | 2022.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