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퀀트 복합전략 36

[복합] 로우볼

증시의 변화가 심할 때 상대적으로 주가의 변동성이 낮은 종목(안정적인 주식)에 투자하는 전략입니다. 보시다시피, 5년 틱테스팅 결과입니다. 우상향 여부 참고를 위해서 일테스팅을 많이 사용하는데, 오늘은 실제로 계좌를 운영하기 위해서 틱테스팅했던 전략을 소개해 드립니다. 실제로 운영하고자 했던 것인 만큼 5년 누적수익률도 600% 정도로 나쁘지 않습니다. 1억으로 시작하면 5년 후 7억이 되는 전략입니다. 물론, 체결이 안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100% 믿을 순 없지만요. 최근 9개월 가량 지지부진한 모양새이긴 하지만, 이전까지는 무난하게 우상향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비교적 저시총 종목의 매매가 많지만, CPC Index나 Sharpe Ratio도 좋습니다. 목표가를 설정하지 않아서, 거의 매도로..

퀀트 복합전략 2022.04.07

[복합] DMI+OBV

주식시장의 방향성과 추세의 강도를 계량화한 지표인 DMI 팩터와 상승한 날의 거래량과 하락한 날의 거래량을 누계한 OBV 팩터를 사용한 전략의 백테스팅 입니다. DMI는 +DI, -DI로 이루어졌고, +DI는 실질적으로 상승하는 폭의 비율을 나타내며, -DI는 실질적으로 하락하는 폭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DI가 -DI보다 큰 국면은 상승추세, 작은 국면은 하락추세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아래 차트에서 보면, 붉은 배경은 +DI > -DI인 상태로 상승추세, 푸른 배경은 +DI -DI 이더라도, 빨간 박스처럼 하락을 어느정도 맞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상승추세 말미에 상승추세가 잦아드는 시기를 판별..

퀀트 복합전략 2022.04.05

[대가] 워렌버핏 변형

"남들이 겁을 먹고 있을 때 욕심을 부려라. 남들이 겁을 먹고 있을 때가 욕심을 부려도 되는 때이다." 라는 명언을 남긴 실존하는 투자의 대가 워렌버핏의 투자전략을 백테스팅해 봤습니다. 아시다시피 주식투자의 수익률은 보유 기간이나 계좌 관리 방법에 따라서 천차만별일 수 있습니다. 백테스팅 결과는 우상향 여부 정도만 확인하는 게 좋다는 뜻이죠. 이런 내용을 알고는 있지만, 생각보다 너무 낮은 수익률에 약간 당황 했습니다. 결과부터 보시죠. 일봉 15년 누적수익률이 1447% 밖에 안되는 것이 아쉽긴 하지만, 한가지 눈에 띄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최근에 시장의 폭락이 있어 추세전략이나 수급전략의 경우에는 방어가 힘든 모양새가 많았지만, 이번 워렌버핏 전략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횡보를 보였지만..

퀀트 복합전략 2022.03.31

[복합] 기관수급

기관의 수급이 들어온 종목을 매수하는 전략을 테스트해 보겠습니다. 지난번 외인의 수급에 따른 전략보다도 더 큰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일봉 테스트이지만, 누적수익률과 MDD 모두 가슴뛰게 하는 수치인데요. 저도 이 전략을 테스트해본 이 후에 제 전략들의 수익률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평균 보유일이 1.04 일로 짧은 기간 보유하면서 확실한 수익을 가져다 주는 전략입니다. 보시다시피 매매성공률이나 유니버스별 매수 비중도 더할나위 없습니다. Sharpe Ratio는 한번도 본 적 없는 수치가 나왔습니다. MDD도 작지만, 월별 수익률을 보면 이 전략을 사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는 것 같네요. 15년이 넘는 기간에 월 수익 16회 남짓 하락세를 기록했고, 상승세와 대비해 보자면 그 마저도 아주 소소한 수준입니다...

퀀트 복합전략 2022.03.28

[복합] 모멘텀 전략

상승의 기운이 계속될 건지, 하락의 기운이 계속될 건지를 알 수 있는 지표인 모멘텀 지표를 통한 전략을 소개드립니다. 모멘텀이라는 단어를 처음 들으면 도대체 무슨 얘긴가 싶은데요. 관성이라고 생각하면 좀 더 쉽게 와닿지 않을까 합니다. 다시 말해서, 어떤 힘이 계속될 수 있을지를 판단하는 지표인데요. 우리는 상승의 기운이 계속되는 종목을 찾아내고자 합니다. 추세 전략의 일환으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주식 시장 또는 종목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가 다양한 만큼 모멘텀을 정의하는 방법은 정말 다양합니다. 저는 오늘, 3일간 수급점수의 변화량을 모멘텀 지표로 사용해 보겠습니다. 조건식을 알아보기 전에, 수익률은 얼마나 좋을 지 먼저 봐야겠죠? 일평균 수익률 0.16%로 복리의 효과를 누리기에 충분한 전략임..

퀀트 복합전략 2022.03.24

[복합] 저시총 전략

퀀트 투자에서 빼놓을 수 없는 저시총 전략입니다. 시가총액이 적은 종목은 비교적 가격의 등락이 크기 때문에 짧은 시간 내에 큰 수익을 준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그 말이 진짜인지 바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일봉 백테스팅이지만, 15년 누적수익률이 무려 49,337.34% 입니다. 일평균 수익률 0.17%이고, 연 환산 수익률은 42.91% 로 나왔습니다. 유니버스별 매수 비중에서 나온대로 Step 2. 매매대상을 설정할 때 코스닥 소형, 코스닥 초소형 만 선택했습니다. 결과를 보니, 너무 쉽게 저시총 전략이 큰 수익을 주는 게 증명된 것 같습니다(?) 시가총액 하위 20% 종목을 EV/EBITDA의 역수와 ROIC의 합이 큰 종목을 우선으로 매수하도록 했습니다. 테스트를 여러가지 해봤는데, 저시총 전략과 E..

퀀트 복합전략 2022.03.22

[복합] 상승추세

퀀트 투자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상승추세 전략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계좌에 적어도 한 개는 운영해야 하는 필수 전략입니다. 수많은 책이나 인터넷 글만 찾아봐도 추세 관련 전략이 수두룩하게 나오는데요. 저도 운영하는 전략 중에 추세 전략의 수익률이 가장 좋습니다. 연 30% 수익률만 되어도 햇수가 거듭될수록 수익률도 쌓이긴 마련이지만 수익률은 크면 클수록 좋은 게 인지상정이니까요. 오늘 수익률 좋은 전략 하나 들여 가시면 좋겠습니다. 오늘 공유드릴 전략은 지수보다 크게 움직인 종목을 매수하는 전략입니다. 일봉 테스트 결과이긴 하지만, 우상향 전략임에는 틀림없어 보이죠? 결과에 따른 통계는 준수한 편입니다. 수익종목이 손실종목보다 적은 것만 제외하면, 유니버스 별 매수 비중도 적절히 분포되어있고 각 KO..

퀀트 복합전략 2022.03.21

[복합] PER/EPS 수익성 전략

이번에 소개해 드릴 전략은 주식의 수익성을 알 수 있는 대표 지표인 PER(주가수익비율)과 EPS(주당순이익)을 이용한 전략입니다. 지표들에서 알 수 있듯이 주식의 성장성에 초점을 맞춘 전략인데요. 주식투자의 원래 목적인 수익성이 좋은 회사의 주식을 매수하니까 수익률이 좋습니다. 보시다시피 15년간 한번 상폐종목이 나왔습니다. 투자 초반에 상폐 종목이 나오면 전략 포기하기 쉬운데, 이렇게 15년간 한번 나왔다는 결과를 알고 있으면 조금 더 마음의 안정을 유지하면서 전략을 운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상폐로 단기적 손실이 크긴 하지만, 해당 종목은 과거에 상한가를 두번이나 갔던 종목이기 때문에 굳이 해당 종목을 제외하는 조건을 업데이트하진 않았습니다. 매매 결과를 보면, 크게 좋은 수치들을 보여주진 않습..

퀀트 복합전략 2022.03.19

[대가] 조셉 피오트로스키 변형

운용 이력없이 대가의 반열에 오른 스탠퍼드 대학 경제학과 교수 조셉 피오트로스키의 전략입니다. 불과 20여년 전에 F-SCORE라는 지표를 만든 장본인 인데요. 제가 어떤 항목을 또 잘 못 입력했는지, 책에서 나온 결과에 크게 못 미치고 말았습니다. 그래도 우상향한다는 사실만은 확실하니, 결과 확인해 보시죠. 그나마 이전에 올렸던 조엘 그린블라트 전략보다 MDD는 개선이 되었습니다. 그래도 책에서 소개한 것 보다 누적수익률, CAGR, MDD 어느 하나 좋은 것이 없네요. 심지어 뭘 잘 못 입력했는지 찾지 못했습니다. 그 와중에 매매성공률 만은 수익종목이 손실종목을 크게 앞서게 나왔습니다. 그래도 15년 누적수익률이 8,830.9% 라는 건 아쉽긴 하네요. 특이하게도 앞서 설명드린 F-SCORE는 조건에..

퀀트 복합전략 2022.03.16

[복합] 외인수급

오늘 소개해 드릴 전략은 외인의 수급을 이용한 전략입니다. 비록 일봉 백테스팅이긴 하지만, 15년 수익률 41,495.15%에 달하는 어마무시한 전략입니다. 아래와 같이 CAGR은 49.16%, MDD는 21.94%로 중장기 전략으로는 누적수익률이 무난한 수준으로 우상향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수익률이 복리로 적용되기 때문에 갈수록 기울기가 높아지는 것 처럼 보입니다. 실제 매매로는 물량 관계로 이런 기울기를 보고 싶으면 아주 적은 금액으로 시작해야합니다. 작년까지 코로나로 인한 큰 상승장이 이어져오다가, 올해 들어서면서 시장이 조정을 크게하는 모양입니다. 젠마트, 젠마켓에 판매 중인 전략들을 비롯하여 많은 수급전략들이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전략은 그 와중에 그나마 선방 중인 것처..

퀀트 복합전략 2022.03.15

[대가] 조엘 그린블라트 변형

마법공식으로 유명한 조엘 그린블라트의 공식을 변형한 전략입니다. 대가들의 전략은 [현명한 퀀트 주식투자] 라는 책을 참고해서 백테스팅하는건데, 이상하게 책이랑 비슷한 수익률은 안나오곤 하네요. 이 조엘 그린블라트는 책에서 소개한 것 보다 한참을 밑도는 결과가 나왔는데요. 뭐, 그래도 테스트 결과는 봐야겠죠? 연간 평균 수익율과 비슷한 수준의 MDD가 나왔습니다. 시장의 충격을 고스란히 받은 모양입니다. 책에서는 누적수익률 25,516%, CAGR 49.06%, MDD 13.53% 로 매우 아름다운 모양이었는데, 눈 씻고 다시 보니 종목 최대 보유일을 5일에서 20일로 설정했네요. 작은 실수로(?) 이렇게나 망가졌습니다. 매수 조건은 위와 같고, 스크롤바가 숨겨진 곳에는 코스닥종가 이동평균선 각 3,5,1..

퀀트 복합전략 2022.03.14

[복합] 수익성저시총 전략

퀀트는 전통적으로 시가총액이 낮은 종목에 효과가 좋다고 합니다. 저시총 종목 중 수익성이 좋은 종목을 매수하는 전략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매매결과는 위에서 보시다시피, 꾸준한 우상향으로 15년 누적수익률이 무려 69,237.57% 입니다. 시장 하락에 따른 충격이 수익률에 영향을 크게 준 모양이긴 하지만, 충분히 가공할 만한 결과를 냈습니다. 보유일이 늘어난 만큼 MDD가 커지는 건 어느정도 용인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저시총 종목이기 때문에 유동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평균 보유일 32.34일로 보유 기간을 늘려 전략을 구성했기 때문입니다. 보유기간이 늘어난다는 것은 하락장에도 매도하지 않기 때문이죠. CPC Index와 Sharpe Ratio도 좋은 편이지만, 수익종목과 손실종목의 건수 차이는..

퀀트 복합전략 2022.03.14

[대가] 벤자민 그레이엄 변형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워렌버핏을 가르친 것으로 유명한 벤자민 그레이엄의 NCAV(Net Current Asset Value) 전략을 백테스팅해 보았습니다. NCAV는 현금화 가능한 자산에 부채를 뺀 나머지 금액 즉, 순유동자산인데요. 알려진 바에 의하면, 이 NCAV가 시가총액의 1.5배 보다 큰 주식만 매수했다고 하는데요. 오늘 테스트하는 전략은 우리나라 주식 시장에 알맞게 약간 수정한 버전입니다. 연간 20%의 복리를 보장한다는 소문보다도 좋은 결과를 보였습니다. 젠포트 백테스팅을 많이 한 우리에게는 비교적 적은 누적수익률이지만, 워렌버핏보다도 먼저 투자를 시작한 대가의 방법이 여태 좋은 수익률을 보장한다는 것 자체가 놀라울 따름입니다. 예상대로 NCAV 전략에 알맞는 중소형주 위주의 유니버스 비중을 ..

퀀트 복합전략 2022.03.12

[대가] 데이비드 드레먼 변형

역발상 투자로 유명한 데이비드 드레먼 전략을 변형해서 백테스팅해 보았습니다. 역발상 투자란,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부정적으로 생각할 때 적극적으로 매입해 큰 수익을 올리는 전략을 뜻합니다. 자칫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가격이 떨어진 자산을 사들이는 전략은 아니니 아래 조건식을 확인해 주세요. 최근 수많은 전략들의 수익률이 떨어진 것에 반해 아주 최근까지도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CAGR이나 MDD도 이전에 올렸던 월터 슐로스의 전략보다도 더 좋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손실종목보다 수익종목이 많고, 다양한 유니버스에서 매수가 일어났습니다. 목표가보다 손절가에 매도한 게 많은 걸 보니, 개선의 여지도 충분해 보입니다. 조건식은.. 월터 슐로스의 전략보다도 복잡한데요. 조건식은 책 현명한 퀀..

퀀트 복합전략 2022.03.12

[대가] 월터 슐로스 변형

벤자민 그레이엄의 스쿨의 제자 중 한명인 월터 슐로스의 전략을 백테스팅 해보겠습니다. 벤자민 그레이엄의 제자인 만큼 스승을 능가하는 수익률을 보여줬습니다. 월터 슐로스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또 다른 제자인 워렌버핏과는 전혀 다른 투자방법을 고수하는데요. 미래가치를 따져 투자대상을 선정하는 워렌버핏과 달리, 사업체의 현재 자산가치를 따져 투자대상을 선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스승인 벤자민 그레이엄과 매우 닮아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 고전하고 있는 대다수의 전략들과 달리 최근까지도 꾸준한 상승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 눈에 띕니다. 다양한 유니버스별 매수 비중을 갖고 있으며, CAGR 뿐 아니라, MDD 까지도 벤저민 그레이엄의 전략을 뛰어넘네요. 물론 실제 매매에서까지 동일한 수익..

퀀트 복합전략 2022.03.12
728x90